29CM, 감도 있는 1조의 성장 비밀

29CM의 성장 공식은 ‘확장’이 아니라 ‘정확함’에 있다. 대중이 아닌 ‘취향 있는 소수’를 위한 큐레이션으로 시장을 이끌고, 그 감도 높은 정체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카테고리까지 확장해간다. 단순한 커머스 플랫폼이 아닌 ‘취향의 미디어’로서, 29CM는 지금 자신만의 방식으로 ‘브랜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연간 거래액 1조 원 달성, 작년보다 한 달 빨리
패션 플랫폼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하이엔드 큐레이션’으로

 

감도 깊은 취향 셀렉트숍 29CM가 올해 연간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했다. 지난해보다 한 달 빠른 속도다. 2년 연속 조(兆) 단위 실적을 이어가며, 플랫폼의 성장을 넘어 ‘하이엔드 취향 생태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 10월 29일 기준 29CM의 거래액은 1조 원을 넘어섰다. 무신사 인수 이후 4년 만에 거래 규모는 3배 이상 성장했고, 매년 40% 수준의 평균 성장률을 유지 중이다. 단순히 판매 확장의 결과가 아니라, 브랜드와 고객이 공존하는 ‘감도 있는 커머스’의 전략이 시장에서 통했다는 의미다.

 

성장세의 중심에는 여전히 ‘여성 패션’이 있다. 29CM는 국내 여성 디자이너 브랜드와의 협업을 강화하며, 소비자에게 감각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을 제시해왔다. 대표 기획전 ‘이구패션위크’는 시즌마다 2539 여성 고객이 가장 먼저 찾는 신상품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올해 상·하반기 거래액은 전년 대비 30% 상승했다.

여성 디자이너 브랜드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올해 10월 말 기준 29CM에서 거래액 50억 원을 돌파한 여성 브랜드 수는 2021년보다 11배 늘었다. △론론 △로우클래식 △르바 △유라고 등의 브랜드가 선두에 서 있으며, △더바넷 △포에토 △헤이그 같은 신진 브랜드들도 개성 있는 감도로 소비자 인지도를 빠르게 확장 중이다. 여기에 △나이키 △뉴발란스 △살로몬 △아크테릭스 등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와의 파트너십까지 더해지며, 29CM는 ‘여성 브랜드 패션 1위’의 입지를 확실히 굳혔다.

 

한편, 홈 카테고리 ‘이구홈’은 29CM의 또 다른 성장 축으로 부상했다. 올해 10월 기준 거래액은 전년 대비 40% 상승했다. 지난 6월 성수에 오픈한 오프라인 편집숍 ‘이구홈 성수’는 4개월 만에 누적 방문객 40만 명을 돌파하며, ‘감도 있는 일상 공간’이라는 새로운 브랜드 정체성을 제시했다. ‘인벤타리오: 2025 문구페어’, ‘DDP디자인페어’ 등 오프라인 기획전은 각각 2만5000명, 3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이구홈의 브랜드 확장성을 입증했다.

뷰티와 키즈 카테고리 역시 29CM의 감도 큐레이션을 이어받았다. 연 2회 대형 뷰티 기획전 ‘이구뷰티위크’와 월간 콘텐츠 ‘이달의 뷰티예보’를 통해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8월 오픈한 ‘이구키즈 성수’는 오픈 한 달 만에 키즈 거래액이 5배 급증하며, 패션과 라이프스타일을 잇는 새로운 소비축으로 부상했다.

29CM 관계자는 “거래액이 급증하는 하반기 대형 행사 ‘이구위크’를 앞두고 지난해보다 한 달 먼저 1조 원을 달성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다”며, “앞으로도 2539 여성 고객의 감도 높은 취향을 가장 정확히 이해하는 플랫폼으로서, 패션을 넘어 홈·뷰티·키즈 전 영역에서의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